안전·보건·환경
안전·보건·환경
안전·보건·환경 경영 방침
- 하나. - 안전·보건·환경을 경영의 필수요소로 인식하고, 경영활동에 우선적으로 적용한다. 
- 하나. - 사전예방 중심의 안전·보건·환경 체계를 구축한다. 
- 하나. - 사업장의 안전·보건·환경에 대한 유해·위험 요인을 파악하고, 지속적으로 개선한다. 
- 하나. - 안전·보건·환경 관계 법령 및 규정을 준수하고,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한다. 
- 하나. - 안전·보건·환경에 활동의 주기적인 검토를 통해 비상사태의 잠재적 발생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대응책을 마련한다. 
- 하나. - 협력 회사와 지역 사회의 안전·보건·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. 
안전·보건·환경 경영 활동
전 직원 참여형 안전·보건 활동
- 안전·보건·환경 문화 조성을 위한 경영진이 참여하는 양방소통 교육 운영
- 안전·보건·환경 책임의식 고취를 위한 활동 전직원 참여
- 안전·보건·환경에 대한 사업장 특성에 맞는 교육 프로세스 구축 및 운영
- 모든 근로자와 이해관계자의 소통 배려
- 안전·보건·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

안전·보건 십계명
- 01. - 모든 작업에 관리감독자를 지정한다. 
- 02. - 모든 종사자는 관리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안전작업절차를 준수한다. 
- 03. - 관리감독자는 종사자 및 협력사에게 위험정보를 제공한다. 
- 04. - 모든 작업 시 적절한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한다. 
- 05. - 작업장 내 안전통로를 확보하며, 작업 전·후 정리정돈을 실시한다. 
- 06. - 가동중인 기계에는 접근하지 않으며, 방호장치의 임의해체를 금지한다. 
- 07. - 화기/고소/밀폐/전기 등 위험 작업은 반드시 안전작업허가를 득한 후 작업한다. 
- 08. - MSDS는 취급장소에 게시하며, 사용자는 사전에 위험정보를 반드시 숙지한다. 
- 09. - 휴대폰 사용/과속/음주/폭언/폭행금지 등 기초 안전질서를 준수한다. 
- 10. - 급박한 위험 발견 시 누구나 작업을 중지할 수 있으며, 안전보건관리팀에 즉시 신고한다. 
추진계획
P-D-C-A-S를 통해 무재해 사업장 실현
| 년도 | 추진목표 | 추진과제 | 
|---|---|---|
| 2023년 | 안전·보건 관리체계 역량 강화 | 위험성 평가 체질화 종사자의 안전개선 활동 참여 체질화 비상 대응 매뉴얼 체계화 안전·보건 전담 조직의 정착 | 
| 2024년 ~ 2025년 | 전사적 안전·보건 대응 능력 강화 | 안전·보건경영 시스템 체계화 위험성(리스크) 발굴 개선 협력사와 공생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안전·보건 전담 조직의 리더십 강화 | 
| 2026년 ~ 2030년 | 인간 중심의 안전문화 정착 | 안전·보건경영 시스템 안정화 안전·보건 전담조직의 선진화 안전·보건관리 체계의 최적화 리스크 관리 체계의 최적화 | 
위험성 발굴 및 개선
- 
				계획수립PLAN - 위험성 평가
- 법규 등 검토
- 목표
- 추진 계획 수립
 
- 
				실행DO - 운영계획 및 관리(안전보건활동)
- 비상시 대비 및 대응
 
- 
				점검CHECK - 모니터링, 측정, 분석 및 성과평가
- 내부 심사
- 경영자 검토
 
- 
				개선ACTION - 시정조치
 
- 
				지원SUPPORT - 자원
- 역량 및 적격성
- 인식
- 의사소통 및 정보제공
- 문서화
- 문서관리
- 기록